본문 바로가기
미리보기

멜랑꼴리아

by 비니사랑 2021. 5. 15.

'대세' 이도현, 임수정과 '멜랑꼴리아' 주인공

"배우 이도현이 임수정과 드라마 '멜랑꼴리아'

사제지간으로 호흡을 맞춘다"

이도현은 극중 백승유를 연기한다.

만사 심드렁하고 반응이 느리며 눈동자에 빛이 없다.

언어장애가 있나 싶을 정도로 말이 없는 인물.

회벽색 학교 건물과 잿빛 교복이 보호색일 만큼 존재감이 없다.

숫자가 적힌 야구 모자를 좋아하고

휴대폰 카메라 대신 DSLR 카메라로

조용히 사진 찍기를 선호하는 자발적 아웃사이더다.

5세에 한 퀴즈 프로그램에 나와

카이스트·포항공대 생도 풀지 못한

수학 문제를 풀어 세상을 놀라게 하며

10세에 MIT 초청으로 입학,

12세에 자퇴하며 돌연 자취를 감춘 수학천재소년이다.

'멜랑꼴리아'는 선생과 제자의 '성(性)'적 스캔들,

이로 인한 비리...

강남의 한 명문 사립고를 발칵 뒤집은 뜨거운 스캔들을 다룬다.

이도현과 호흡을 맞춘 고등학교 수학 교사 역할은 임수정이 맡는다.

4년 전 열여덟 미성년자였던 제자 이도현이

스물둘 성인 남자가 되고 만나며 사건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된다.


'멜랑꼴리' 뜻

멜랑꼴리는 알 수 없는 우울함이나 슬픔, 애수, 침울함 등의 감정으로, 검은색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멜랑(melan)과 담즙을 의미하는 꼴레(chole)의 합성어다. 즉 멜랑꼴리의 의미는 검은 담즙인 셈.

고대 그리스에선 인간의 체액을 네 가지로 분류해 정의했다. 그중 한 가지인 흑담즙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우울증을 비롯한 정신병이 발생한다고 여겼다.

또 멜랑꼴리는 우울(憂鬱, Melancholia)로 번역되기도 하며 슬프고 불행한 감정을 뜻하기도 한다.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된 이 단어는 오늘날 정신의학의 분야에서까지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


'멜랑꼴리' '멜랑꼴리 의미'

흔히 많은 사람들은 기분이 울적할 때 "멜랑콜리하다"고 말하곤 한다. 하지만 멜랑콜리의 정확한 뜻을 알고 있는 사람들은 의외로 그리 많지 않다.

흔히 감정의 일종으로 '우울함' 또는 '비애'를 나타내지만 본래는 고대 그리스, 로마에서 의학용어로 사용된 단어다. 현대에는 정신의학에서 사용되는 단어다. 그리스 어 멜라이나 혹은 멜랑과 콜레가 합쳐진 단어로 '검다'와 '담즙'이 합쳐진 단어다. 즉 담즙이 과해지는 병으로 그리스 어로는 멜랑콜리아가 원래 표현이다.

르네상스 시대 들어 멜랑콜리를 주제 및 제목으로 한 작품들이 등장하면서 이에 대한 사회적인 주목도가 높아졌다. 미술에서 뿐만 아니라 철학 분야에서도 시, 예술 등에서도 멜랑콜리의 개념이 폭넓게 쓰이기 시작했다. 이후 19세기에 접어들면서 멜랑콜리보다는 '디프레션'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면서 멜랑콜리는 적어도 의학에서는 그 영향력이 감소했다.

멜랑콜리의 의미를 접한 네티즌은 "멜랑콜리 의미, 복잡한 뜻이네" "멜랑콜리 의미, 좀 심오하긴 하지만 여튼 의학용어네" "멜랑콜리 의미, 그냥 간단한 개념은 아니었군" "멜랑콜리 의미, 그냥 우울한거 아닌가" 등과 같은 다양한 반응을 나타냈다.

'미리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S2 새 월화드라마 '경찰수업'  (0) 2021.05.11

댓글